반응형

    청년도약계좌는 2023년 6월부터 11개의 은행에서 가입이 가능합니다. 그렇다면 각 은행별 가입방법과 가입 시 유의사항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신청기간: 2023년 6월부터 청년도약계좌 신청 가능, 가입기간은 6월15일부터 6월 23일까지 가능

    (2023년 7월부터 매월 2주간 가입신청 기간을 운영) 

     

    2022년 소득만 있을 경우 2023년 7월 이후 신청
    2023년 소득만 있을 경우  2024년 7월 이후 신청가능

    *2023년도 6월 신청자의 경우 2021년도 소득으로 충족여부 확인해야 함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청년도약계좌는 2023년 6월부터 11개 은행에서 신청가능하며 아래와 같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가능은행

     

    *링크 경로는 해당 앱에 설치주소로 연결

     

    NH농협은행 아이폰 안드로이드
    신한은행 아이폰 안드로이드
    하나은행 아이폰 안드로이드
    IBK기업은행 아이폰 안드로이드
    KB국민은행 아이폰 안드로이드
    우리은행 아이폰 안드로이드
    DGB대구은행 아이폰 안드로이드
    BNK부산은행 아이폰 안드로이드
    BNK경남은행 아이폰 안드로이드
    광주은행 아이폰 안드로이드
    전북은행 아이폰 안드로이드

     

    ▶신청방법: 모바일앱을 통해 비대면 신청 가능하며 은행영업일 오전 9시~ 오후 6시30분까지 신청 가능합니다. 

     

    신청순서: 가입신청자의 경우 연령요건을 즉시 확인할 수 있으며 가구 소득요건 등 가입가능 요건이 확인되면 신청한 은행에서 가입가능여부를 별도로 안내합니다. 1인 1계좌 신청 가능하며 계좌개설은 1개의 은행만 선택이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순서

    청년도약계좌 모바일앱 신청 경로를 우리은행 기준으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대부분 다른 은행 앱에서도 이벤트 창에서 확인이 가능하니 쉽게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①청년도약계좌 가입할 은행의 앱을 설치한 후 이벤트 창을 확인합니다. 

     

    ②청년도약계좌 신청하기를 확인합니다. 

     

    ③개인정보 수집, 이용 동의서를 작성 후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④약관을 읽어보고 가입신청을 하면 청년도약계좌 신청이 완료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시 주의사항

    청년도약계좌 신청 시 유의해야 할 점이 있다면 만기가 5년이라 생각보다 길다보니 그 기간만큼 목돈이 묶이게 됩니다. 실제 문재인 정부 때 만들어진 청년희망적금의 경우 혜택은 좋았지만 출시 7개월만에 30만명이 중도해지하게 되는 일이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개인 사정으로 인함인데 만기를 못 채우고 중도해지할 경우 감면받은 세금을 다시 추징당하게 되기 때문에 가능한 본인의 상황에 맞는 금액을 저축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청년희망적금 가입 이후 중도해지 시에도 정부혜택을 적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특별중도해지라고 하는데 해당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청년희망적금 특별중도해지 조건

     

    특별중도해지 사유 기한
    가입자의 사망 기한은 없음
    단, 중도해지 전 6개월 이내 사유 발생 시
    가입자 해외이주
    천재지변
    가입자 퇴직
    가입자 폐업
    가입자의 3개월 이상 입원치료
    요양이 필요한 상해, 질병의 발생
    금융회사의 영업정지, 영업인가 허가의 취소,
    해산결의 또는 파산선고
    생애최초 주택취득

     

    ▶청년희망적금 특별중도해지 시 필요서류

     

    특별중도해지 사유 제출서류
    가입자 사망 기본증명서 또는 사망진단서
    가입자 해외이주 가족관계기록사항에 관한 증명서 및
    해외이민신고확인서 등 해외이주서류
    천재지변 자연재해 피해사실확인 등
    천재지변 사실 확인서류
    가입자 퇴직 퇴직소득원천징수영수증 또는 퇴직증명서
    가입자 폐업 폐업증명원(폐업사실증명)
    가입자의 3개월 이상 입원치료, 요양이 필요한 상해, 질병 발생 의료기관이 발급하는 진단서
    금융회사 영업정지, 영업인가 허가 취소,
    해산결의 또는 파산선고
    해당사유 증명서류
    생애최초 주택취득 취득주택 건물등기부등본,
    생애최초주택취득사실 확인할 수 있는 서류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